커널 아카데미 데이터 분석가 부트캠프가 시작됐습니다.
1주차는 빅데이터에 대한 대략적인 개념에 대해 학습하고 엑셀 공부로 이루어져있습니다.
1. 엑셀 기초
상대참조 : 함수를 복사 / 붙여 넣기 할때 참조된 셀이 함께 이동하는 참조
절대참조 : 함수를 복사/붙여넣기 해도 참조된 셀이 이동하지 않는 참조
상황에 따라서 상대참조와 절대참조를 적절하게 사용해야한다.
2. 엑셀 함수
COUNT 함수 : 특정 범위에서 "숫자 데이터"가 들어가 있는 셀의 개수 파악
=COUNT(C5:C12)
COUNTA 함수 : 특정 범위에서 데이터가 들어가 있는 셀(비어 있지 않은 셀)의 개수 파악
=COUNTA(C5:C12)
COUNTBLANK 함수 : 특정 범위에서 비어있는 셀의 개수 파악
=COUNTBLANK(C5:C12)
COUNTIF 함수 : 특정 범위에서 하나의 조건을 만족하는 셀의 개수 파악
=COUNTIF(C:5C12,"A")
=COUNTIF(C:5C12,">=5")
COUNTIFS 함수 : 특정 범위에서 2개 이상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셀의 개수 파악
=COUNTIFS(J55:J62, ">5", J55:J62, "<8")
(COUNTIFS가 2개 이상의 조건을 다룰 수 있는 함수이기 때문에 주로 COUNTIF 함수보다 이 함수를 자주 사용한다고 한다.)
IF 함수의 원리
IF 함수의 중첩
VLOOKUP 함수 : 공통 기준 열을 기준으로 n번째 있는 데이터를 찾아오는 함수
INDEX & MATCH 함수로 데이터불러오기
MATCH 함수 : MATCH 함수는 내가 찾고 싶은 값이 한 행/열에서 몇 번째에 있는지를 숫자로 알려줌
-> 결과가 반드시 숫자(몇 번째인지)
INDEX 함수 : 특정 범위에서 행 번호와 열 번호로 원하는 데이터를 불러옴
INDEX 함수 안에는 찾고 싶은 데이터의 범위 내 행 번호와 열번호를 입력해줘야한다.
그렇기 때문에 MATCH 함수를 INDEX 함수안에 적절히 사용한다면 데이터를 보다 쉽게 불러올 수 있다.
(이부분이 제일 어렵고 이해하기 힘들었다. 반복 학습으로 익숙하게 해보자. 강사님께서도 이부분에서 많이 포기들 한다고 말씀하심)
예를 들어서 INDEX(array, MATCH(lookup_value, lookup arrary, 0), MATCH(lookup_value, lookup array, 0)) 을 하고 각각 상대참조와 절대참조를 적절히 걸어둔다면 많은 양의 데이터를 보다 쉽게 불러올 수 있다.
SUMIFS 함수 : 2개 이상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데이터들의 합계 계산
SUMIFS 함수는 조건이 1개일 때도, 2개 이상일 때도 사용이 가능하다
따라서 SUMIFS 사용을 생활화 하는 것이 편리하다.
SUMPRODUT 함수 : 인수(배열)끼리 곱하여 곱들의 합계를 계산
DAYS/DATEDIF 함수
주문날짜
2033-11-08
배송날짜
2033-11-11
=DAYS(종료일,시작일) = 3
=DATEDIF(시작일, 종료일, "D") = 3 (D대신에 M, Y, YM, MD 사용 가능)
=YEAR()
=MONTH
=DAY()
여기에 더해서 엑셀로 대시보드까지 제작해봤습니다.
대시보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조건 태블로나 PowrBI 같은 시각화 툴을 사용해야하는 줄 알았는데 엑셀로도 간단하게 대시보드를 작성할 수 있다는 점이 이번주 강의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 같네요.
'데이터 공부 기록 (Study Notes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패스트캠퍼스] 커널 아카데미 데이터 분석 부트캠프 18기 2주차 학습일지 (0) | 2025.03.07 |
---|